인간 탄생에 대한 역사적 논쟁

인간이 환경에 의해 태어났는지 창조 되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논쟁


‘본능과 육아’는 20세기를 뜨겁게 달구었던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상반된 두 가지 방법입니다. 역사적으로 인간의 행동에 대한 이해는 시대정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대한 철학적 문제로서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려는 시도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17세기 철학자 존 로크의 인간평등 사상을 중심으로 한 합리주의 전통은 경험과 환경이 인간 행동의 차이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며, 인간성은 후천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신생아의 발사진
신생아

영국의 경험주의자들을 반대했던 장자크 루소와 임마누엘 칸트는 인간의 본성은 선천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시작으로, 이러한 상반된 철학적 논의는 생물학과 결합되는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게 됩니다. 다윈은 ‘종의 기원’에서 먼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보편성을 제시하고 증명하려 했으며, 인간의 본성도 진화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생명체로서의 보편성에 기초하고 있음을 제시했습니다.

그의 사촌 프랜시스 골튼도 이 개념을 확장하여 인간의 행동을 묘사하기 위해 ‘자연’과 ‘교양’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고, 인간의 행동은 유전된 자연에 기초한다고 주장했으며, ‘유제닉’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만들었습니다. 다윈의 진화론에 영감을 받은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인간의 본성을 옹호하며 인간의 마음이 신체기관처럼 생물학적 적응을 통해 진화했다고 주장했고, 당시 주류 경험론에 도전했습니다.

한편, 20세기에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의 조건반사를 개발한 행동심리학자 존 왓슨은 훈련만으로도 인간의 성격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는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생물학적 설명에서 벗어나 어린 시절의 개인의 경험이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결정한다고 생각하여 인간 행동의 문제를 자연적 본성보다는 훈련과 경험으로 되돌렸습니다.

이러한 육아에 기반을 둔 경험적 주장은 문화가 문화가 아니라 인간의 본성을 만든다는 미국 문화 인류학의 아버지 프란츠 보아스와 사회적 현실이 생물학적 요인으로 설명될 수 없는 사회적 현상의 합 이상이었다고 주장한 에밀 더켄에 의해 계승되었습니다.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상반된 유전적 결정론과 환경적 결정론이 논의되었던 20세기 내내, 인류는 양육과 자연의 양극단, 즉 공산주의와 나치즘 사이의 실험에 비싼 대가를 치렀습니다.

우리는 또한 어떤 식으로든 인간의 행동이 본성과 양육이 아니라 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30년간 급속하게 발전한 분자생물학과 2003년 완성된 인간 게놈 지도 작업 때문에 자연과 육아에 대한 오랜 논쟁이 다시 인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를 분리할 수 있게 한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동질성, 우울증, 폭력 등 인간의 행동이나 본성을 결정하는 유전자의 존재가 보고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새로운 질문들이 다시 제기되고 있었습니다. 또 뇌에서 사람의 감정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는 항우울제로 발견된 프로작은 강박장애, 폭식증, 절도, 스트레스 증후군 등 인간의 다양한 행동 이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완성된 인간 게놈 지도는 인간의 생물학적 존재를 결정하는 모든 정보의 모음인 전체 게놈이 원래 예상했던 약 10만 개가 아닌 2만 5천 개의 유전자로만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그것은 또한 매우 복잡한 생명체인 인간이 바나나나 초파리보다 유전 정보가 두 배밖에 없다는 놀라운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인간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적은 수의 유전자에 대한 놀라운 결과는 곧 인간 유전자 지도 제작을 이끈 크레이그 벤터를 포함한 몇몇 과학자들로 하여금 인간의 복잡한 행동을 통제하기에는 유전자가 너무 적기 때문에 생물학적 결정론보다 양육과 환경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생명과학의 발전과 맞물려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두 가지 다른 문제, 즉 자연과 육아에 대한 논쟁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2001년 인간 게놈지도 완성을 앞두고 인간 게놈지도의 생물학적·사회학적 의미와 인간 게놈지도의 사회학적 의미를 제시해 세계를 놀라게 한 과학자 매트 리들리가 생명의 상호작용을 제시하려 했습니다.

Leave a Comment